- 臥薪嘗膽
- 와신상담【臥薪嘗膽】〔중국 춘추 시대, 오(吳)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 원수를 갚기 위해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복수의 일념을 불태웠고, 그에게 패배한 월(越)의 왕 구천(句踐)이 쓸개를 핥으며 보복을 다짐한 끝에 부차를 패배시켰다는 고사에서〕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괴로움을 무릅씀을 이르는 말. 〈준말〉상담(嘗膽).
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 2013.
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 2013.
臥薪嘗膽 (와신상담) — 춘추시대 오왕부차 (吳王夫差) 가 월왕구천 (越王句踐) 을 쳐서 부왕 (父王) 원수를 갚고자 매양 섶 속에 앉아서 신고 (辛苦) 하였으며, 구천은 오나라를 쳐서 회계의 치욕을 씻고자 쓸개를 핥으며 보복을 잊지 않았다는 고사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와신상담 — 臥薪嘗膽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Гоуцзянь — Гоуцзянь, ван царства Юэ (越王勾踐, тж. встречается архаичное написание 句踐), годы правления 496 465 до н. э. Наиболее известный персонаж в истории Юэ; один из ярчайших характеров эпохи Вёсны и Осени. В отличие от большинства других, в ранних… … Википедия
Ли Лихуа — кит. 李麗華 (пиньинь Lĭ Lìhuá) Имя при рождении: Ли Лихуа Дата рождения: 17 июля 1924(1924 07 17) (88 … Википедия
七顚八起 (칠전팔기) — 여러 번 실패해도 굴하지 않고 끝내 성공함. 불요불굴 (不搖不屈) . 와신상담 (臥薪嘗膽) . 권토중래 (捲土重來) . 백절불굴 (百折不屈)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嘗 — 【상】 맛보다; 시험하다; 일찍; 항상; 가을 제사 (가을에 신곡을 올려 지내는 제사) 尙 (일찍상) + 旨 (맛지) 口부 11획 (총14획) [1] [v] taste [2] experience [3] [v] try; experiment ショウ·なめる 嘗糞之徒 (상분지도) 도무지 부끄러움을 돌아보지 않고 아첨을 잘하는 사람을 일컬음. 臥薪嘗膽 (와신상담) 춘추시대 오왕부차 (吳王夫差) 가 월왕구천 (越王句踐) 을 쳐서 부왕 (父王)…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土 — 【토】 흙; 땅; 살다; 재다 측량하다; 토성 (별) 【두】 뿌리 (杜) 초목의 싹이 땅 위로 터져나오는 모양 土부 0획 (총3획) [1] soil; earth; [2] land; territory; domain [3] local; native; indigenous [4] unrefined; unenlightened [5] rustic; countrified [6] opium [7] an abbreviation for Turkey…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捲 — 【권】 말다; 주먹 (=拳) ; 힘쓰다 재방변부 8획 (총11획) [1] [v] curl; curly (hair, etc.) [2] [v] roll up [n] roll [3] [v] sweep off 捲土重來 (권토중래) 한 번 패하였다가 다시 세력을 회복하여 쳐들어 옴. 와신상담 (臥薪嘗膽) . 칠전팔기 (七顚八起) . 雲捲天晴 (운권천청) 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맑게 갬. <비유> 병이나 근심이 씻은 듯이 없어짐의 비유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捲土重來 (권토중래) — 한 번 패하였다가 다시 세력을 회복하여 쳐들어 옴. 와신상담 (臥薪嘗膽) . 칠전팔기 (七顚八起)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
會稽之恥 (회계지치) — 패전 (敗戰) 하여 받은 잊을 수 없는 수치. 오왕부차 (吳王夫差) 와 회계산 (會稽山) 에서 싸우다가 지고 잡혀 받은 굴욕을 잊지 않기 위하여 월왕구천 (越王句踐) 이 와신상담 (臥薪嘗膽) 한 끝에 마침내부차와 싸워이겨서 설치 (雪恥) 한고사에서 나온말 … Hanja (Korean Hanzi) dictionary